미술을 사랑하는 당신은 누구십니까? who are you?

일산미술학원 87

삼다수를 포함한 정물 소묘 / 예중 예고 입시미술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안녕하세요.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오늘은 정물 소묘 학생 수업작을 가져왔습니다. 창문이 있는 실내 이미지를 제시하고 테이블 위에 놓인 생수병과 장미꽃을 소재로 표현한 연필 드로잉입니다. 제시된 실내 이미지의 빛과 분위기에 어울려서 실물로 출제된 정물들이 자연스러워 보이도록 끔 표현하는 게 관건이 되겠죠. ​​ ​ ​덩치가 크지 않은 정물들이라 주제부에 모아서 시선을 집중시키는 배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보입니다. 창문으로 스며들어오는 빛의 방향에 맞춰 명암을 형성해 준 점도 아주 좋아 보이며, 장미꽃의 섬세한 묘사는 상당한 수준을 보여주고 있네요. 창문에서 들어오는 빛의 표현이 다소 과장된 면도 있지만 어떻게 보면 확실한 의도를 느낄 수도 있고 무척 재밌어 보이는 표현이라 ..

카테고리 없음 2022.10.06

깨진 달걀 연필 드로잉 / 계란 정밀 묘사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안녕하세요.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오늘은 깨진 달걀을 소재로 표현한 연필 소묘를 가져왔습니다. 디자인과 입시에서도 소묘와 디자인을 함께 요구하는 대학들이 있습니다. 한 면에는 사물을 연필 소묘로 그리고 다른 면에는 전공으로 그 사물을 이용한 발상(사고의 전환, 기초디자인)을 합니다. 소묘에서는 형태나 묘사 등 기본적인 관찰력과 표현력이 주된 평가요소가 되겠지요. ​ 소묘는 조형예술의 기초니 만큼 그 중요성이야 두말할 필요가 없겠지요. 소묘를 잘해야 전공도 잘 한다는 얘기도 있고, 이대나 고대처럼 아예 소묘 단일 과목으로 디자인과 입시를 치르는 대학도 있으니 무조건 잘 하고 볼 일입니다. ​ ​ ​ 한눈에 보기에 관찰력과 표현력 둘 다 좋아 보입니다. ​ 금가고 깨진 딱딱한 껍질 부분의 섬세한 ..

갤러리/정물 2022.10.01

축구공을 포함한 정물 소묘 / 연필 드로잉 / 예중 예고 입시미술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안녕하세요. 일산 후아유 미술 학원입니다. ​ 오늘은 투명 아크릴판에 위에 놓인 축구공, 플라스틱 페트병, 자바라 석유 펌프, 나무로 만든 정육면체, 붉은 장미, 단감을 소재로 표현한 연필 드로잉 중1 학생 수업작을 가져왔습니다. 안정적인 삼각형 구도로 정물을 배치하고 집중력 있는 관찰을 바탕으로 보이는 데로 사실적으로 표현한 정물 소묘입니다. 형태와 색감, 질감 표현과 묘사 등 기본 조형성 향상에 초점을 두고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 ​ 투명 아크릴 판, 축구공, 플라스틱 페트병, 자바라 펌프, 나무 정육면체, 붉은 장미, 단감 - 정물 소묘 중1 학생 수업작 (4절 4시간) ​ ​조형 기본에 충실한 반듯한 형태와 섬세한 묘사, 물성 표현, 깔끔한 완성도가 좋아 보입니다. 어느 정도 세련미도 갖추었네..

이대, 고려대 드로잉 / 파프리카, 정육면체, 투명 플라스틱 컵 연필 소묘 자유표현 / 정물 소묘 학생 수업작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안녕하세요.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오늘은 예비반 학생이 그린 정물 연필 소묘 수업작을 가져왔습니다. 고2 학생이지만 이제 입시미술을 시작한 지 3주 경과한 학생으로 기본 입체 도형을 몇 장 그려본 다음 수업작입니다. ​ 정육면체는 질감, 색감 표현을 자유롭게 하라고 제시했었는데 3면을 각각 돌, 나무, 종이의 다른 표면으로 표현하였네요. 구도는 이제 2장째 배치하는 거라 아직은 무리인 거 같고 선배들 그림을 참고하여 그리긴 했지만 묘사력은 생각 외로 좋아 보입니다. ​ ​ ​ ​ 마무리를 조금 손 봐주긴 했지만 별 무리 없이 진도를 잘 따라오네요. 지금은 다소 힘들어하지만 차차 적응하고 익숙해지겠지요. ​ 아마 가을이 끝날 때쯤엔 상당히 기초가 잡힐 거 같습니다. 무엇보다 본인이 그림 그리는 ..

선풍기, 곰돌이 푸 인형 수채화 / 예중 예고 입시미술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안녕하세요.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오늘은 선풍기와 곰돌이 푸 인형 수채화 개체 묘사를 가져왔습니다. 더워서 선풍기를 꺼내야 할 때가 되면 어김없이 그려보게 되는 정물이네요. 선풍기가 실질적으로 입시에 잘 등장하지 않는 정물이긴 한데, 요즘은 탁상용으로 작고 이쁜 선풍기가 많아 언제 출제되어도 이상할 것 같진 않습니다. ​ ​ 선풍기는 정확한 형태가 평가 시 관건이 되겠네요. 철망이 복잡해 보이지만 구조 파악을 잘 해서 큰 틀을 먼저 잡아놓고 하나하나 스케치해 나가면 별 무리 없이 그릴 수 있을 거예요. ​ 반투명 플라스틱 날개의 특성과 색감 그리고 질감 표현에 신경 써서 묘사해 줌으로써 포인트가 살아난 느낌이 드는군요. 의도적으로 주목 효과를 노리고 강조해서 색감 변화를 알록달록하게 주었다고 ..

정물 채색화 / 예중 예고 입시미술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바닥에 놓인 삼다수 페트병, 고무장갑, 과자봉지, 콜라캔, 나무상자, 종이박스, 노끈을 소재로 표현한 채색화입니다. 집중력 있는 관찰을 기반으로 보이는 데로 그리려 노력한 정물 수채화입니다. 공간감을 고려해가며 탄탄하게 구조를 표현하고 섬세하게 묘사하였네요. 비슷한 색감을 사용한 분위기 있는 표현도 괜찮아 보입니다. 차분한 터치로 견고하게 쌍아 올린 건실한 느낌도 좋습니다. * 예중 예고 수강생 모집 서울대 미대 서양화과 졸업, 20년 경력 현 예고강사 원장 직강 각 5명 정원 소수 정예. 과외식 책임지도 문의 : 010 8250 0034

가을 산책 (일산 취미 미술학원)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단풍이 물든 가을 숲길을 산책하는 다정한 연인을 아크릴 물감으로 표현하였습니다. 거침없는 터치로 두껍게 바른 물감의 물성이 물씬 느껴지네요. 원색에 가까운 화려한 색상의 사용과 강렬한 명암대비가 시선을 사로잡는군요. *취미미술 수강생 모집 서울대 서양화과 졸업 원장 직강 월 수강료 10만원 원데이 클래스 (재료 제공) 5만원 문의 : 010 8250 0034 추석날 차례 지내고 한밭수목원 산책 갔다가 찍은 사진입니다. 가을이 익어가고 있더군요.

갤러리/취미 2022.09.14

심심할 때... (일산 취미 미술학원)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심심할 땐 뭘 하시나요? 책상에 앉아 손 가는 데로 끄적여 보는 건 어떠신지요. 호작질? 추석 연휴 잘 보내셨나요? 백 년 만에 가장 둥근 보름달이 뜨는 한가위라는데, 구름에 가려 볼 수가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대전 엑스포다리 위에서 바라본, 구름이 오락가락하던 추석 전야 보름달입니다. 살짝 구름이 끼어 다소 흐릿하던데, 추석 전전날 밤 귀성길에 운전하며 바라보던 보름달이 훨씬 밝고 선명하였습니다. 강가에서 바라보는 야경이 이쁘네요. 시원한 바람이 스쳐가는 다리 위에서 숨바꼭질하는 보름달을 바라보니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군요. 크고 밝고 탐스러운 보름달이었습니다.

갤러리/취미 2022.09.13

공구 연필 드로잉 / 정물 소묘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오늘은 공구(전지가위, 롱노우즈 펜치)를 그린 연필 드로잉 4점을 가져왔습니다. 디자인 소재로 많이들 그려보는 사물로, 짧은 시간 내에 완성해야 되는 만큼 연습을 통한 숙련이 필요합니다. ​ 정확한 관찰력과 형태에 대한 이해, 섬세한 묘사와 질감 표현이 요구되며, 집중력만 유지한다면 빠른 시간 내 효과적인 표현과 완성이 가능합니다. ​ ​ ​ 4장의 결과물은 그린 학생의 선호도와 의도, 개성에 따라 각기 다른 표현을 보여주고 있네요. 그렇더라도 형태, 양감, 묘사, 질감 표현 등 소묘의 기본이 되는 조형요소들은 고루 갖추고 있어야 되겠죠. ​ 어떤 기법이 더 좋다고 얘기할 순 없으니 각자 자기 자신에 맞는 표현법을 찾아 능숙해지도록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갤러리/정물 2022.09.08

매 연필 드로잉 /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 소묘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

일산 후아유 미술학원입니다. ​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같은 이미지를 보고 그린 매 연필소묘 4장을 가져왔습니다.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는 자연물(생물과 무생물)과 인공물 이미지와 실물을 소재로 제시하고 연필 소묘로 자유표현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그 외에도 디자인과 입시 소묘에서는 한 번쯤 다뤄봐야 할 소재이기도 하지요. ​ ​ ​ ​바람을 타고 날으는 매의 멋진 자태를 표현해 주었네요. 같은 이미지를 보고 그려도 학생 개개인의 관찰력과 표현력, 그리고 의도와 개성에 따라 다른 결과물을 보여 줄 텐데요, 실기력이 어느 정도 일정 수준으로 올라온 학생들은 우열을 가리는 것도 골치 아픕니다. 4장의 그림을 순위를 매긴다면 어떻게 하실 건가요? 학생들도 자기 그림을 객관적인 평가자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면..

갤러리/기타대 2022.09.06